교육의 심리적 기초

자아개념

Oliver_Twist 2022. 5. 18. 09:56
자아개념은 확연하게 무엇이라고 꼬집어 말하기는 어려운 용어이다. 흔히 이와 유사한 용어로는 자아상, 자기지각, 자기 확신, 자아태도, 자기평가, 자아 감정 등이 사용되고 있으나, 그 각각은 약간씩 의미를 달리하기도 한다. 대체로 자아개념은 타인이 자기 자신을 어떻게 보는가, 즉 평가하는가에 대한 자신의 지각과 자신의 자신에 대한 태도나 감정이라고 말할 수 있다. 여기서 주로 다루어 볼 것은 학업에 대하여 학습자가 가진 자아개념이다. Blllom(1976)은 이것을 학문적 자아개념이라는 용어로 다루고 있다. 학습자는 학교와 학교 학습에 대하여, 장기간의 학교생활을 통하여 긍정적 또는 부정적 감정과 태도를 발달시키게 된다. Metcalfe(1981) 도 자아개념이 높을수록 학교에 대한 태도가 좋고, 자아개념이 낮을수록 학교에 대하여 부정적인 태도를 형성하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이와 같은 감정과 태도는 초등학교 3학년 아동들을 조사한 결과, 아동들의 자기 능력에 대한 자기 평가와 그들의 학급 동료에 대한 평가는 교사가 인정하는 학업성적 평가의 결과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주장하였다. 이와 같은 자아개념은 비교적 오랜 기간에 걸쳐서 변화되는데, 그 실증적인 예는 Kilfer(1973)의 연구에서 찾아볼 수 있다. 그는 학문적 자아개념과 교사의 평점 사이의 관계에 대한 종단적인 연구를 실시하였다. 그는 1학년에서 2학년까지, 1학년에서 4학년까지, 1학년에서 6학년까지, 1학년에서 8학년까지의 학생 중에서 교사의 평점이 5분의 1 이내에 드는 학생을 선발하였다. 이와 아울러 동일한 학급에서 평점이 열등한 5분의 1의 학생을 선발하여, 이 두 집단의 학생들에게 각각 자기 능력에 대한 자아개념을 검사하여 비교하였다. Reid(1982)는 장기 결석의 원인을 분석하면서, 사회 경제적 배경이 나쁜 아동들은 학교와 교육에 대해 좋지 못한 태도를 가지고 있으며, 아울러 학문적 자아개념도 낮은 것으로 밝히고 있다. 이들을 위해서는 개인지도와 보상을 통한 태도 변화를 먼저 꾀하는 것이 좋다고 주장하였다. 그렇다고 해서 교사가 열등한 집단의 학습자에 대하여 큰 기대감을 표명하면서, 우수한 집단의 학습자와 동등한 대우를 하는 것은 오히려 바람직하지 못하다. 즉 열등한 집단의 학습자들은 자신의 처지를 상회하는 대우를 받으면, 오히려 심리적인 압박감을 느끼고 위축되기 때문이다. 그렇게 된다면, 학원성취를 위한 긍정적 자아개념의 형성에 오히려 역효과를 초래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우수한 학습자 집단과 열등한 학습자 집단은 그 나름의 수준에 알맞은 처우를 해주는 것이 교사로서는 중요하다. 우수한 학습자 집단과 열등한 학습자 집단은, 학습 현장을 관찰하더라도 집단의 특성이나, 교사와의 상호작용 형태가 다른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관하여 Haskins(1983) 등은 19개 학습의 독서 지도 현장을 각각 90분씩 관찰하여 내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업성적이 우수한 학습자 집단은 개별 학습을 선호하는 경향이 많았으며, 학업성적이 열등한 학습자 집단의 학생들은 단체적 학습 활동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열등한 집단으로 구분되는 학습자들은 우수한 집단의 학습자들에 비하여 교사로부터 더 많은 연습을 종용받으며, 주의를 많이 듣고, 잘못에 대한 시정과 직접 지도받는 횟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실상, 이와 같은 학급 내의 상호작용이 오랜 기간에 걸쳐서 발생하면, 자아개념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학업에 대한 학습자의 자아개념은 학급 내의 학습 활동을 토하여 형성되고, 변화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때, 특히 자아개념에 영향 주는 것은 학습자에 대한 교사의 평가로 볼 수 있다. 따라서 교사는 학습자 개개인의 학력별 수준을 파악하여 그에 적절한 조처를 하고, 학교와 학습에 대하여 교사는 좋은 품성과 민감성을 나타내어 학습자에게 좋은 태도를 심어줄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이와 같은 상호작용이 계속되면, 학습자는 학업에 대한 긍정적인 자아개념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교육의 심리적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퍼스낼리티  (0) 2022.05.18
좌절에 대한 반응  (0) 2022.05.18
학습이론  (0) 2022.05.17
발달단계이론  (0) 2022.05.17
환경론적 관점  (0) 2022.05.17